은공의 심리

편안한 삶을 추구합니다 :)

  • 2025. 3. 30.

    by. 은공주님

    목차

      반응형

      예비부부가 꼭 합의해야 할 7가지 돈 대화

      💣왜 ‘사랑’보다 ‘돈 얘기’가 더 무서운가?

      결혼은 ‘사랑의 결실’이기도 하지만,
      현실적으로는 재정 합작 프로젝트입니다.

      그런데도 많은 커플들이 **"그건 결혼하고 얘기하자"**며 돈 이야기를 미룹니다.
      결과는요?
      ✔️ 신혼 초 매달 지출로 다투고
      ✔️ 카드값, 대출, 예금 잔액을 보고 서로 실망하게 되며
      ✔️ 심한 경우 '돈 성향 차이'로 결혼 1년 안에 갈등이 폭발합니다.

      📌 결혼 전에 재정 대화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입니다.


      ✅ 결혼 전 반드시 나눠야 할 돈 대화 7가지


      1️⃣ 서로의 빚과 자산 현황, 오픈하기

      사랑한다고 해서 상대방의 채무까지 사랑할 필요는 없습니다.
      결혼은 ‘공동 책임’이기 때문에
      현재 가지고 있는 빚, 대출, 자산은 정확히 공유해야 합니다.

      💡 “신용점수 공유”, “은행별 대출 현황 캡처” 정도는 기본


      2️⃣ 월 고정 지출 및 소비 스타일 파악하기

      한 사람은 20만 원으로 한 달을 보내고,
      다른 한 사람은 20만 원으로 하루를 보낼 수도 있습니다.

      ✔️ 월세/관리비/통신비 등 고정 지출 목록화
      ✔️ 외식, 쇼핑, 취미 등 평균 소비 패턴 공유

      💡 예: ‘나는 월 100만 원 쓰는데, 네 소비 기준은 어때?’


      3️⃣ 결혼식, 신혼여행, 혼수 비용 분담 방식 합의

      • 5:5? 6:4? “넌 예식, 난 혼수?”
        막연하게 나누기보단, 총 예산 + 항목별 분담을 구체화해야 갈등이 없습니다.

      💡 구글 시트/네이버 가계부로 ‘공동 예산표’ 만드는 것 추천


      4️⃣ 각자의 부모님 지원 여부 확인

      예단, 예물, 집 마련 등에서
      ‘부모님이 어느 정도 도와주시냐’는 민감하지만 꼭 필요한 대화입니다.

      ✔️ "우리 쪽에서는 어느 정도 지원 예정이야"
      ✔️ “부모님 부담 없게 가고 싶어” 등 현실 조율 필요


      5️⃣ 결혼 후 통장 운영 방식 결정

      • 공동통장 운영 vs 각자 통장 유지
      • 생활비 분담 비율 (50:50 or 수입 비례)

      📌 함께 벌고 함께 쓰는 게 이상적이지만, 모든 부부에게 맞지는 않습니다.

      💡 추천 방식: ‘공동생활비 계좌 + 개인 용돈 통장 분리’


      6️⃣ 저축, 투자에 대한 인식과 계획 공유

      • 예: 월 50만 원씩 공동 저축 vs 각자 운용
      • 투자 성향: 안정형 vs 공격형
      • 노후 준비 시작 시점

      💡 "넌 ETF 해? 난 아직 CMA야" → 금융 성향 차이 인정하고 조율 필요


      7️⃣ 미래 계획: 주택 구입, 육아, 은퇴 시점까지 롱텀 토크

      결혼은 12년 프로젝트가 아니라, 최소 3040년짜리 공동 인생 설계입니다.
      미리 공유할수록 ‘삶의 궤도 차이’를 좁힐 수 있습니다.

      ✔️ “집 사는 건 언제쯤?”
      ✔️ “아이 계획은?”
      ✔️ “경제적으로 독립된 삶의 목표는?” 등


      🧠 결혼 전 돈 얘기, 어떻게 꺼내야 덜 싸울까?

      💬 대화 팁

      • 데이트 중 가볍게 시작 → "우리 생활비는 어떻게 될까?"
      • 구체적인 항목을 미리 정리해두기 (체크리스트 형태)
      • 일방적으로 몰아붙이지 말고, 서로 질문하면서 풀기
      • 필요시 금융 상담 콘텐츠 or 유튜브 자료 함께 보기